Git
[Git] restore, revert, push, pull
삶_
2022. 11. 28. 11:39
파일 되돌리기
- git restore 파일명 : 해당 파일이 커밋되기 전으로 돌아감
- git restore --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 : 특정 커밋 시점으로 파일이 복구됨
- git restore --staged 파일명 : 특정 파일의 staging 취소 가능 (git add한 기록 등)
- git revert 커밋아이디(여러개 가능) : 해당 커밋에서 일어난 일을 취소함 (취소된 내용으로 재 커밋 가능)
- git revert HEAD : 방금 전 커밋 취소
- git reset --hard 커밋아이디 : 커밋이 생성된 시점으로 모든 파일을 돌려줌
git push
- 코드를 원격 저장소에 올릴 때 사용
- git push -u 원격저장소주소 로컬브랜치이름
- 주소가 복잡하면 변수문법 사용하기
- git remote add 변수명 저장할문장 : 문장을 변수명으로 저장함
- -u 는 기억하다는 뜻. 한번 -u 를 사용해 원격저장소에 넣었다면 다음부터 git push 만 입력해도 됨
git clone
- 작업 폴더 생성 후 sourcetree 처럼 원격저장소 주소를 가져와 터미널에 입력
-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: 현재 폴더에 원격저장소와 연결된 파일 및 깃 설치
- 콜라보레이터에 등록되어야 git push 가능
- 원격 저장소에 새로운 파일이 이미 push 된 상태 → git push 불가
- → git pull 해서 가져와야함
git pull
- git pull 원격저장소주소 브랜치명
- git fetch + git merge 를 합친 말
- git fetch : 원격저장소에서 새로 생성된 커밋 가져오기
- git merge : 현재 브랜치에 merge 하기
브랜치 업데이트 하는 법
git remote update
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간의 차이점을 업데이트
git fetch
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