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하는 삶

[백준] 10828 본문

CS/알고리즘

[백준] 10828

삶_ 2022. 6. 19. 09:39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28

문제

정수를 저장하는 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.

  • push X: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.
  • pop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 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size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• empty: 스택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  • top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 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
입력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 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출력
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내 풀이

  • 파이썬 리스트함수를 자주 까먹는거같다. 복습하자!
#정수 X 저장. 명령의수N 입력됨
#push 정수X에 스택 넣는연산
#pop 가장 위에있는 정수 빼고 출력. 없으면 -1출력.
#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갯수
#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
#top 스택의 가장 위에있는 정수 출력. 없으면 -1

n = input()
n = int(n)

#아래처럼 2차원배열시 꼭 초기화를 해줘야된다
x = [[0]*(2) for nm in range(n+1)] 
y = [] #스택을 담을 y 리스트

#먼저 값을 받아 2차원배열에 넣는다
for xx in range(n):
    x[xx] = list(input().split())

#2차원 배열 안에있는 입력값을 경우에 따라 나눈다
for xx in range(n):
    if x[xx][0] == "push":
        y.append(x[xx][1])
    elif x[xx][0] == "pop":
        if not y :
            print("-1")
        else:
            print(y.pop())
    elif x[xx][0] == "size":
        print(len(y))
    elif x[xx][0] == "empty":
        if y == []:
            print(1)
        else:
            print(0)
    elif x[xx][0] == "top":
        if not y:
            print(-1)
        else:
            print(y[int(len(y))-1])

'CS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10610  (0) 2022.06.19
[백준] 13305  (0) 2022.06.19
[백준] 9012  (0) 2022.06.19
[백준] 9093  (0) 2022.06.19
[백준] 1931  (0) 2022.06.19